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앵커브리핑] 불통사회의 통역…'토미 크롱과 글동무'

입력 2015-03-19 21:3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뉴스룸 2부의 문을 엽니다.

'토미 크롱과 글동무'

유럽 최대의 대중음악 경연대회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올해 스웨덴 예선에서 좀 의외의 인물이 화제가 됐습니다.

이 사람의 이름은 '토미 크롱' 이른바 훈남도 아닌 것 같고 노래를 잘하는 것도 아니라는데 '크롱 신드롬'이란 말이 나왔을 만큼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대체 어떤 매력이 있길래… 잠시 화면으로 보시겠습니다.

크롱의 직업은 수화 통역사였습니다. 대회에 나온 가수의 노래를 수화로 통역해 전달한 것인데요. 그는 가수보다 더 풍부한 표정과 몸짓으로 열심히 '노래'를 표현했습니다.

"노래를 듣지 못하는 이들에게 노래의 느낌까지 전하고 싶었다"

크롱의 들리지 않는 노래에 많은 사람들이 감동하고 박수를 보냈습니다.

또 다른 통역 아닌 통역도 있습니다. 한 광고기획사가 탈북 학생들을 위해 '글동무'라는 이름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습니다.

남한말을 북한말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개구쟁이는 '발개돌이', 햄버거는 '고기겹빵' 이렇게 북한식의 단어와 뜻풀이를 알려주는 겁니다. 표준말을 낯설어하는 학생들의 고충을 헤아린 기분 좋은 배려입니다.

지금 설명해드린 두 가지 사례를 놓고 본다면 통역은 단순히 언어를 옮기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옮겨 공감을 전하는 작업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따지고 보면 우리 사회에도 같은 언어를 쓰지만 '통역'이 필요한 일 너무도 많습니다.

오늘(19일) 경남도의회가 표결을 통해 학교 무상급식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논란은 거셉니다. 학교급식을 두고 한편에선 '공짜'다. 다른 한편에선 '권리'다 이렇게 읽고 있지요.

문제 해결을 위해 만났다던 두 명의 정치인 역시 같은 언어로 대화를 했지만 '벽을 보고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이렇게 이야기했죠.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만난 3자회동 역시 만남은 만남이되 서로간의 해석은 달랐지요. 명칭부터 달랐으니까요.

"손바닥의 앞과 뒤는 한 몸이지만 뒤집지 않고는 볼 수 없는 가장 먼 사이. 뒤집고 보면 이렇게 쉬운 걸 싶지만 뒤집기 전엔 구하는 게 멀기만 하다"

소설가 박완서 선생이 남긴 말입니다.

한국사회는 한 몸이면서도 뒤집지 않고는 볼 수 없는 먼 사이. 심지어는 뒤집어 보려고도 하지 않는 멀고 먼 사이. 따지고 보면 정치인들만 그런 것도 아니고, 세대간에도, 계층간에도, 지역간에도 그렇게 돼가는 것은 아닌가….

우리에게 토미 크롱, 그리고 글동무와 같은 존재는 없는가를 간절히 생각하게 하는 오늘입니다.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관련기사

[앵커브리핑] 최저임금 인상 논란과 '5달러의 날' [앵커브리핑] 청와대 회동…'카타르시스 커뮤니케이션' [앵커브리핑] 미·중 부딪히는 와중에…한반도 '새우등' [앵커브리핑] 교황 "세월호 문제는?"…4월 맞는 '부끄러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