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평창조직위, 사후 활용 질문에 '한숨만 커지는' 답변

입력 2015-01-20 21:23 수정 2015-01-20 21:3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평창동계올림픽 단독개최를 받아들인 IOC가 이번엔 수천억이 들어가는 경기장의 사후 활용계획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조직위의 생각을 들어봤는데, 되레 걱정만 더 커졌습니다.

오광춘 기자입니다.

[기자]

[곽영진 부위원장/평창올림픽조직위 기획행정 담당 : IOC에서도 (경기장) 건설진행 상황들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돼 상당한 안도감을 느꼈고, 그 부분에서 대단히 높게 평가했습니다.]

평창조직위는 IOC의 프로젝트 리뷰 결과에 흡족한 표정입니다.

그렇다면 IOC는 어땠을까.

[킷 맥코넬/IOC 스포츠디렉터 : 경기장 건설이 완공된 이후엔 관리를 누가 하나요.]

IOC는 경기장 사후 활용 문제도 우려하고 있었는데, 평창조직위는 오늘(20일)에야 이를 공개했습니다.

[김상표 부위원장/평창올림픽조직위 대회시설 담당 : IOC에서는 될 수 있으면 구체적으로 (올림픽 경기장의) 사후 활용 방안을 강구했으면 좋겠다.]

단독개최의 대가로 떠안게 된 신축경기장 6곳, 16일간의 대회가 끝나면 그야말로 애물단지입니다.

신축경기장은 대회 후 시민 체육시설과 훈련장, 체험시설, 리조트 등으로 활용 예상되는데 수익성과는 거리가 멉니다.

[정윤수/스포츠 평론가 : 현재까지 나와 있는 활용방안은 활용방안이라는 페이지에다가 몇 글자 넣기 위한 활용방안이지, 결코 살아 움직이는 생산적 활용방안이 아니다.]

썰매종목 경기장인 평창 슬라이딩센터의 경우 운영비만 연간 50억원 정도인데, 평창조직위의 계획은 현실성이 떨어집니다.

[김상표 부위원장/평창올림픽조직위 대회시설 담당 : 여름에 주민들이 바퀴 달린 슬라이딩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 공간으로…. 북경이 동계올림픽을 개최한다면 이것을 (분산개최지로) 활용한다든가.]

사후 활용의 첫 단계인 운영주체를 놓고도 정부와 지자체가 서로 발을 빼려는 모습입니다.

지난해 인천아시안게임으로 1조원 이상 빚을 떠안은 인천시는, 경기장 운영비에 매년 100억원을 써야 할 상황입니다.

평창올림픽까지 남은 3년보다 그 이후가 더 두려운 이유입니다.

관련기사

평창조직위 "더 이상 분산 개최 논란 없기를 바란다" IOC 프로젝트 리뷰 종료 "분산개최 안해…준비 흡족" 당장 내년부터 '프레대회'…아직 삽도 못 뜬 경기장 동계올림픽 또 아시아에서 열린다…추락하는 인기, 왜?
광고

JTBC 핫클릭